고사성어

#고사성어(17) 인간관계의 지혜, '근주자적, 근묵자흑(近朱者赤,近墨者黑)

두족이 2024. 1. 14. 17:30


1. 들어가며
일상에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고사성어 중 하나인 '근주자적, 근묵자흑(近朱者赤,近墨者黑)'에 대해 함께 이해해보려 합니다. 이 고사성어는 좋은 사람이나 나쁜 사람과 가까이 지내면 그들의 성향에 영향을 받는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고사성어의 한자 별 음과 뜻을 알아보고, 실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2. 근주자적, 근묵자흑(近朱者赤,近墨者黑) 한자별 음과 뜻
먼저 '근주자적, 근묵자흑'이라는 고사성어의 한자 별 음과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근(近)'은 가깝다는 뜻으로, 물리적이나 감정적인 거리를 나타냅니다.
'주(朱)'은 붉다는 뜻으로, 색깔을 나타냅니다.
'자(者)'는 ~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의 주어를 만듭니다.
'적(赤)'은 붉다라는 뜻으로, 색깔을 나타냅니다.
'묵(墨)'은 먹이라는 뜻으로, 중국에서는 필적으로 사용하는 먹을 의미합니다.
'흑(黑)'은 검다라는 뜻으로, 색깔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근주자적, 근묵자흑'은 '붉은 것에 가까운 것은 붉어지고, 먹에 가까운 것은 검어진다'는 뜻으로, 좋은 사람이나 나쁜 사람과 가까이 지내면 그들의 성향에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입니다.

3. 공자와 근주자적, 근묵자흑
'근주자적, 근묵자흑'는 중국의 문헌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공자가 말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비슷한 의미의 내용은 있으나 정확히 근주자적, 근묵자흑이라 말하지 않아서 출처가 확실하지 않다고 합니다. 그러나 가장 유명하므로 공자가 말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原文:东周春秋末期,孔子门人《孔子家语》孔子曰:“吾死之后,则商也日益,赐也日损。”曾子曰:“何谓也?”子曰:“商好与贤己者处,赐好说不若己者。不知其子,视其父;不知其人,视其友。不知其君,视其所使;不识其地,视其草木。故曰:“与善人居,如入芝兰之室,久而不闻其香,即与之化矣。与不善人居,如入鲍鱼之肆,久而不闻其臭,亦与之化矣。丹之所藏者赤,漆之所藏者黑,是以君子必慎其所与处者焉。”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제 뒤를 이어 자하는 전보다 더 발전할 것이고, 자공은 전보다 더 퇴보할 것입니다." 증자가 "그 이유가 무엇입니까?"라고 물었다. 공자는 "자가는 자기보다 덕이 높은 사람과 함께 있기를 좋아하므로 도덕적 수양이 날로 향상될 것이고, 자공은 자기보다 총명하지 못한 사람과 함께 있기를 좋아하므로 도덕적 수양이 날로 퇴보할 것이다. 자식이 어떤 사람인지 모르면 그 아버지를 보면 그 자식이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있고, 사람을 모르면 그 주변의 친구들을 보면 알 수 있으며, 주인을 모르면 그 주인이 보내는 사자를 보면 알 수 있고, 지역을 모르면 그 지역의 풀과 나무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성품이 고상한 사람과 함께 있는 것은 난을 심고 향수를 뿌린 집에서 목욕하는 것과 같아서 오랜 시간이 지나면 향기를 맡지 못하지만 그 향기로 가득 차게 되고, 성품이 낮은 사람과 함께 있는 것은 젓갈을 파는 가게에 가는 것과 같아서 오랜 시간이 지나면 악취를 맡지 못하지만 그 환경에 섞이게 되고, 단을 숨긴 곳은 오랜 시간이 지나면 붉게 되고 옻을 숨긴 곳은 오랜 시간이 지나면 검게 되니 진정한 신사는 자신을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신사는 자신이 사는 환경을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공자께서는 자신이 어떤 사람과 어울리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성품이 영향을 받는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근주자적, 근묵자흑'이라는 고사성어와 같은 맥락의 교훈입니다. 진정한 신사는 자신을 신중하게 선택해야 하며, 성품이 고상한 사람과 함께 있는 것은 난을 심고 향수를 뿌린 집에서 목욕하는 것과 같다고 말씀하셨습니다.

3. 근주자적, 근묵자흑 용례
이번에는 '근주자적, 근묵자흑'을 어떤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로는 나쁜 사람과 가까이 지내는 상황입니다. 예를 들어, 친구가 나쁜 습관이 있는 사람들과 자주 놀아서 걱정이 될 때, 이 고사성어를 활용해 걱정의 이유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A: "너의 친구가 너무 걱정돼. 그 친구들이 너에게 나쁜 영향을 끼칠까 봐."
B: "'근주자적, 근묵자흑'이라고 했잖아. 나쁜 사람들과 자주 지내면 그들의 나쁜 습관에 영향을 받게 돼. 너도 조심해야 해."


두 번째로는 좋은 사람과 가까이 지내며 그의 좋은 버릇을 배우는 상황입니다. 예를 들어, 친구가 성공한 사람과 가까이 지내며 그의 성공 습관을 배울 때, 이 고사성어를 활용하여 그 상황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A: "너의 친구가 대단하다. 어떻게 그렇게 성공적인 사람이 될 수 있었지?"
B: "그는 '근주자적, 근묵자흑'의 원칙을 따랐어. 성공한 사람들과 가까이 지내면서 그들의 좋은 습관을 배웠어."


이처럼, '근주자적, 근묵자흑'은 우리 주변의 사람들이 우리에게 끼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데 유용한 고사성어입니다. 근주자적만 쓰이기도 하고 근묵자흑으로만 쓰여도 같은 의미로 통하니 다양하게 활용해보세요.

'근주자적, 근묵자흑'은 우리 일상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고사성어입니다. 이 고사성어는 이 고사성어를 통해 우리는 나쁜 사람과 가까이 지내면 그의 나쁜 버릇에 물들기 쉽다는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