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22) 집사광익(集思廣益) - 다양한 생각의 힘

'집사광익(集思廣益)'이라는 고사성어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 그 유래와 함께 실생활에 적용해보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집사광익'은 네 개의 한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集'은 집으로 읽으며, '모으다'를 의미합니다.
2. '思'는 사로 읽으며, '생각하다'를 가리킵니다.
3. '廣'는 광으로 읽으며, '넓다'를 의미합니다.
4. '益'은 익으로 읽으며, '이익'을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집사광익(集思廣益)'은 '생각을 모아 넓게 이익을 얻는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이로부터 이익을 얻는 가치를 강조합니다. 그렇다면 이 고사성어는 실제로 그런 의미를 가진 것일까요?
'집사광익(集思廣益)'은 실제로 '다양한 생각을 모아 이로 인해 큰 이익을 얻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고사성어는 삼국 시대 촉나라의 군사 고문인 제갈량이 부하들에게 국정 운영에 대한 지혜를 가르칠 때 사용되었습니다. 제갈량은 "정치를 할 때는 모든 사람의 지혜를 모으고 유용한 의견을 폭넓게 흡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다른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감히 다른 의견을 제시하지 않으면 일을 잃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제갈량은 토론하고 올바른 결론에 도달하는 과정을 긍정적으로 보았습니다. 그는 이를 통해 나쁜 것을 버려서 보물을 찾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그의 이런 사상은 서원직과 동화라는 두 사람에게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그들은 국정에 관여하는 동안 미흡한 점이 있으면 반드시 직접 의견을 제시했고, 그 과정에서 지치지 않았습니다. 이런 노력 덕분에 그들은 나라를 위해 최선을 다하며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런 배경을 바탕으로 '집사광익(集思廣益)'이라는 고사성어가 탄생하였습니다. 이 고사성어는 '모든 사람의 지혜를 모으고 유익한 의견을 널리 수렴한다'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이런 사상을 바탕으로 우리 일상에서도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가치를 인식하고 실천해 나가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집사광익(集思廣益)'이 가지는 이런 의미는 우리의 일상에서도 중요한 가치로 여겨집니다. 예를 들어, 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이 이 고사성어의 의미를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영어로는 브레인 스토밍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또한, 사회적 이슈를 논의할 때도 다양한 입장과 시각을 모아 더 깊고 폭넓은 이해를 도모하는 것 역시 '집사광익'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럼 대화문 예시를 보겠습니다.
A: "우리 이번 프로젝트, 아이디어가 좀 부족한 거 같아."
B: "그러면 다들 생각하는 아이디어를 모아보자. '집사광익(集思廣益)'이라는 말이 있잖아.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으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거야."
A: "이 이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B: "나는 이렇게 생각하는데, 다른 사람들의 의견도 들어보고 싶어. '집사광익(集思廣益)'이라고, 다양한 생각을 모으면 더 큰 이해를 얻을 수 있으니까."
'집사광익(集思廣益)'은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교훈을 전달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이 고사성어를 통해 우리는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이해와 결정을 도출하는 가치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