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사성어(23) 가도사벽(家徒四壁)으로 보는 사마상여와 탁문군의 사랑이야기

두족이 2024. 1. 20. 20:35


가난한 상황에서도 사랑이 지속될 수 있는 가치를 전달하는 고사성어, '가도사벽(家徒四壁)'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가도사벽(家徒四壁)'은 네 개의 한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家'는 가로 읽으며, '집'을 의미합니다.
2. '徒'는 도로 읽으며, '오직'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3. '四'는 사로 읽으며, 숫자 '네'를 의미합니다.
4. '壁'는 벽으로 읽으며, '벽'을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가도사벽'은 '집안에는 오직 네 벽뿐이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며, 가난하여 집안에 아무것도 없는 상황을 표현합니다. 그렇다면 이 고사성어는 실제로 그런 의미를 가진 것일까요?

'가도사벽'은 실제로 '가난하여 집안에 아무것도 없는 상황'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이 고사성어는 중국의 사마상여(司馬相如)와 탁문군(卓文君)의 사랑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죄송합니다. 그럼, 한자를 포함한 문장을 제시해드리겠습니다.

서한(西漢) 시대의 수사학자이자 문학가인 사마상여(司馬相如)는 문학적으로 뛰어나고, 펜싱과 거문고 연주에도 능했습니다. 그의 기품과 늠름함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그와 친분을 맺고자 했습니다.

사마상여(司馬相如)는 한경제(漢景帝)와 왕효왕(梁孝王)이 살아 있던 시기에 하급 관리로 일하다가 결국 고향인 성도(成都)로 돌아와 유유자적한 삶을 즐겼습니다. 그의 고향 친구들은 그의 귀환을 환영하며 그를 찾아왔고, 사마상여(司馬相如) 역시 친구들을 만나러 나갔습니다. 그 중에는 왕길(王吉)이라는 친구가 있었는데, 그는 임공(临邛)의 재상이었습니다. 한번은 사마상여(司馬相如)는 왕길(王吉)을 찾아 임공(临邛)의 작은 주막에서 머물게 되었습니다.

이 친분은 도시의 부호들에게 알려지게 되었고, 그 중 한 명인 탁왕손(卓王孙)은 사마상여(司馬相如)를 존경하는 왕길(王吉)의 모습을 보고 그와 친구가 되길 원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큰 연회를 준비하고 왕길(王吉)과 사마상여(司馬相如)를 초대했습니다. 하지만, 사마상여(司馬相如)는 그를 만나고 싶지 않았고, 몸이 아프다며 연회에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이로 인해 탁왕손(卓王孙)은 크게 실망했습니다.

탁왕손(卓王孙)에게는 탁문군(卓文君)이라는 딸이 있었는데, 탁문군은 남편이 죽은 후 친정으로 돌아와 살았습니다. 그녀는 어릴 때부터 시와 음악을 좋아했으며, 이미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위대한 이름을 알았습니다.

탁왕손(卓王孙)은 수많은 손님들을 초대하고, 왕길(王吉)에게 사마상여(司馬相如)를 직접 초대하도록 부탁했습니다. 연회는 진행이 되었고 사마상여도 연회에 참석하게 되었습니다. 사마상여(司馬相如)는 여러 곡의 음악을 연주하여 모든 손님들의 찬사를 받았습니다.  탁문군(卓文君)은 창문 밖에서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연주를 듣고 그의 뛰어난 재능과 행동에 마음이 끌려 사랑에 빠졌습니다. 이를 알게 된 사마상여(司馬相如)는 매우 기뻐했고, 두 사람은 은밀하게 약혼했습니다.

탁왕손(卓王孙)은 이를 알게 되었지만, 사마상여(司馬相如)의 가난한 삶을 인정하지 못해 두 사람의 결혼에 반대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탁문군(卓文君)은 결정적으로 사마상여(司馬相如)를 선택했습니다. 그들은 밤에 임공(临邛)을 빠져나와 성도(成都)로 돌아와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집에 도착했습니다.

탁문군(卓文君)은 사마상여의 집이 사방이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고 무일푼이었지만 여전히 사마상여(司馬相如)를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탁왕손은 크게 분노했고 어떠한 지원도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탁문군(卓文君)은 이에 대한 불만 없이, 사마상여(司馬相如)와 함께 어려운 삶을 살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들은 이후 임공(临邛)으로 돌아와 작은 주점을 열었고, 탁문군(卓文君)은 직접 술을 팔았습니다. 사마상여(司馬相如)는 항상 짧은 바지를 입었지만, 그는 그것을 슬퍼하지 않았습니다. 탁왕손(卓王孙)은 체면을 잃을까 두려워 탁문군(卓文君)에게 돈을 주었고, 그들은 다시 성도(成都)로 돌아왔습니다. 그 후, 한무제(汉武帝)는 사마상여(司馬相如)의 글을 읽고 그를 높이 평가하여 도성으로 불러들여 랑(郎)으로 명했습니다.

'가도사벽(家徒四壁)'은 가난해도 삶을 정면으로 마주하고 힘든 일을 함께 나누는 것이 사랑을 유지하는 비결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탁문군(卓文君)은 사마상여(司馬相如)와 함께 성도(成都)로 도망간 후 "가도사벽(家徒四壁)"을 보고도 그의 가난함을 싫어하지 않았습니다. 그녀는 사마상여(司馬相如)와 함께 묵묵히 어려움을 견디며 살기로 결정했습니다.

'가도사벽'이 가지는 이런 의미는 우리의 일상에서도 중요한 교훈으로 여겨집니다. 물질적인 부유함이 아닌, 마음의 풍요로움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는 이 고사성어는, 물질적으로 부족한 상황에 처했을 때나, 삶의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위안을 주는 말이 될 수 있습니다.

대화문 예시입니다.

A: "물가는 오르고 월급은 그대로고.. 요즘 경제적으로 너무 힘들어, 집안은 가도사벽(家徒四壁)이야."
B: "그래도 네 마음가짐이 풍요롭다면, 그것이 네게 큰 힘이 될 거야. 물질적인 부유함이 아니라 마음의 풍요로움이 진짜 부자라는 걸 잊지 말아."

A: "회사를 그만두고 싶어도, 집안 형편이 가도사벽(家徒四壁)이라서 그만둘 수가 없어."
B: "그래도 너의 열정과 노력을 잊지 말아. 어려운 상황이라도 너의 마음가짐이 풍요롭다면, 반드시 좋은 결과가 있을 거야."


'가도사벽'은 물질적으로 부족한 상황을 나타내는 고사성어입니다. 이 고사성어를 통해 우리는 물질적인 부유함이 아닌 마음의 풍요로움이 진짜 부자라는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