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성어 43

#고사성어(14) 불가근불가원(不可近不可遠) 의미와 유래, 응용까지

부제목: 불가근불가원(不可近不可遠) - 가까이 하기도, 멀리 하기도 애매한 관계의 딜레마 1. 들어가며 가까이 하기도, 멀리 하기도 애매한 관계의 딜레마. 때로 우리는 인간관계나 사물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할지 고민에 빠질 때가 있습니다. 가까이 하기엔 부담스럽고, 멀리하기엔 그리움이 남는 그런 상황들이죠. 이러한 복잡한 인간 심리를 잘 표현하는 고사성어가 '불가근불가원(不可近不可遠)'입니다. 이 고사성어는 인생의 많은 관계에서 겪는 미묘한 감정의 줄타기를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이 고사성어의 의미를 깊이 있게 탐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불가근불가원의 음과 뜻 '불가근불가원(不可近不可遠)'은 여섯 개의 한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불(不): '아니다..

고사성어 2024.01.11

#고사성어(13)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의 의미와 유래, 응용까지

부제 :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 기대와 다른 현실 속에서 찾는 깊은 의미 1. 들어가며 오늘은 날씨가 따뜻해지고 만물이 소생하는 봄과 같은 기대를 가졌으나 현실은 그렇지 못한 상황을 표현하는 고사성어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이 고사성어는 단순한 날씨의 변화를 넘어, 인생의 굴곡과 기대와 다른 현실에 대한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그럼, 이 고사성어의 각 한자의 음과 뜻부터 자세히 살펴보고, 이야기를 통해 그 의미를 깊이 있게 풀어보겠습니다. 2.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의 음과 뜻 - 춘(春): '춘'은 봄을 의미합니다. 생명이 소생하고, 자연이 깨어나는 활력 넘치는 계절을 상징하죠. - 래(來): '래'는 '오다'라는 의미입니다. 무언가가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죠..

고사성어 2024.01.10

#고사성어(12) 선시어외(先始於隗) - 유래와 응용

부제 : 선시어외(先始於隗) - 성공의 발판, 능력 있는 인재부터 1. 들어가며 성공적인 사업의 출발점은 뛰어난 인재에서 시작됩니다. 오늘은 한 조직의 토대를 다지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인재 등용'에 대해 이야기해볼 텐데요. 바로 고사성어 '선시어외(先始於隗)'입니다. '선시어외(先始於隗)' 고사성어를 통해 진정한 인재의 가치를 발견하고, 그들을 어떻게 등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얻어보세요. 의미부터 흥미로운 유래까지 여러분께 전달합니다. 2. 선시어외(先始於隗)의 음과 뜻 이 글에서는 이 고사성어의 각 한자의 음과 뜻을 자세히 해석하고, 그 의미를 풀어보겠습니다. '선시어외'는 네 개의 한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선(先): 여기서 '선'은 '먼저'라는 의미입니다. 어떤 일을..

고사성어 2024.01.09

#고사성어 (11) 능견난사(能見難思) - 너..T니..?

1. 들어가며 눈으로는 명확히 보이지만, 그 이치를 깊이 이해하기 어려운 사물이나 상황을 뜻하는 고사성어 '능견난사(能見難思)'에 대해 알아봅시다. 이 포스팅에서는 각 한자의 음과 뜻, 고사성어의 의미와 유래를 탐구하고, 현대 생활 속에서 이 고사성어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 능견난사(能見難思)의 음과 뜻 이 고사성어는 우리가 종종 겪는, 눈으로는 분명히 보이는데 마음으로 완전히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을 잘 표현하고 있죠. 그렇다면 이 네 글자의 뜻과 이야기는 과연 무엇일까요?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시죠. '능견난사'는 한자 네 글자 각각이 가지는 의미를 이해하면 그 뜻이 좀 더 명확해집니다. - 능(能): 이 한자는 '할 수 있다'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여기에서는 인식의 능력, 즉 ..

고사성어 2024.01.09

#고사성어 (10) 천금매골(千金买骨) - 가치 있는 것에 투자하다

1. 들어가며 고사성어 천금매골(千金买骨)에 담긴 깊은 의미를 탐구해보세요. 각 한자의 음과 뜻부터 고사성어의 유래에 이르기까지, 재미있는 스토리텔링으로 풀어내며, 현대 상황에서의 적용 방법과 대화 예시를 통해 이 고사성어의 활용법을 알아봅시다. 이 고사성어는 단순히 한자의 조합을 넘어, 깊은 교훈과 역사적 배경이 담겨 있는 말입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차근차근 그 내용을 풀어보겠습니다. 2. 한자의 음과 뜻 '천(千)'은 숫자 '천'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많은 양 혹은 큰 가치를 상징합니다. '금(金)'은 '금'이나 '돈'을 뜻하씨, 물질적인 가치를 나타냅니다. '매(买)'는 '구매하다' 혹은 '사다'라는 의미로, 어떤 대상을 돈을 주고 얻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골(骨)'은 '뼈'를 의미하는..

고사성어 2024.01.08

#고사성어 (9) 문정경중(问鼎轻重)의 깊은 뜻을 파헤치다

1. 들어가며 고사성어 '문정경중(問鼎輕重)'의 한자 별 음과 뜻을 풀어보고, 이 고사성어의 유래와 그 속에서 배울 수 있는 교훈, 그리고 이 고사성어를 실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 한자의 의미 먼저, '문정경중'이라는 고사성어의 한자 별 음과 뜻을 알아봅시다. '문(問)'은 묻다라는 뜻으로, 질문하거나 상대방의 의견을 듣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鼎)'은 동족을 나타내며, 고대 중국에서는 음식을 조리하거나 제사를 지낼 때 사용했습니다. '경(輕)'은 가볍다는 뜻으로, 무게가 적은 것을 의미합니다. '중(重)'은 무겁다는 뜻으로, 무게가 많은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문정경중'은 동족의 무게를 묻는다는 뜻으로, 이 고사성어는 천하를 빼앗으려는 속셈이나 남의 실력을 의심하는 ..

고사성어 2024.01.07

#고사성어 (8) 계구우후(鸡口牛后)"와 그 의미, 유래, 관련 이야기

1. 들어가며 고사성어 "계구우후(鸡口牛后)"에 대한 의미, 유래, 그리고 이와 관련된 이야기를 알아보는 포스팅입니다. 한자 단어의 의미와 함께, 이 고사성어가 왜 사용되며 어떤 이야기와 관련되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계구우후"를 사용한 대화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2. 계구우후(鸡口牛后) 한자풀이와 의미鸡 닭 계 口 입 구 牛 소 우 后 뒤 후 고사성어 "계구우후(鸡口牛后)"는 말 그대로 '닭 입에서 소 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표현은 사소하고 작은 사람이 큰 사람 앞에서 입을 열면서 위엄을 갖추고 있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고사성어입니다. 3. 계구우후(鸡口牛后) 성어의 유래 이 고사성어의 유래는 중국 고려 시대에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에는 사회적 계급이 엄격하게 구분되..

고사성어 2024.01.07

#고사성어 (7) 동감공고(同甘共苦)

#고사성어 (7) 동감공고(同甘共苦) 1. 들어가며 예전에 MBC에서 방영했던 프로그램인 "스타 서바이벌 동거동락"을 기억하시나요? 유재석이 MC였고 다양한 게스트들과 함께 게임을 하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어린시절 이 프로그램의 영향을 받아서 "동고동락"이란 고사성어를 "동거동락"이라 잘못 알고 있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동고동락(同苦同樂)은 괴로움과 즐거움을 함께 한다라는 의미의 고사성어입니다. 이 표현과 같은 뜻을 가진 오늘의 고사성어는 "동감공고(同甘共苦)"입니다. 2. 한자풀이와 의미 먼저 각각의 한자의 발음과 뜻을 샅샅이 뜯어서 물고 씹고 익혀봅시다. 한자의 뜻을 풀어보자면 동감공고(同甘共苦)란 기쁨과 행복을 함께 즐기고, 어려움을 함께 나눠서 감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람과 사람 ..

고사성어 2022.04.01

#고사성어 (6)동공이곡(同工异曲)

#고사성어 (6)동공이곡(同工异曲) 1. 들어가며 제가 좋아하는 노래중에 “걱정 말아요 그대”라는 노래가 있습니다. 이 노래는 드라마 1988의 OST로 드라마와 잘 어울리는 노래였습니다. 이 노래를 부른 이적의 깊은 목소리가 마음을 울렸습니다. 그런데 이 노래는 리메이크가 된 곡이었습니다. 원곡은 전인권의 걱정 말아요 그대라는 곡이었습니다. 같은 노래이더라도 제 취향은 이적님의 곡이었습니다. 이처럼 예전에 나왔던 곡들을 리메이크해서 리메이크한 가수의 특색을 살려 좋은 곡을 만들어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처럼 고사성어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습니다. “동공이곡(同工异曲)“에 대해 알아볼게요. 2. 한자풀이와 의미 먼저 각각의 한자의 발음과 뜻을 샅샅이 뜯어서 물고 씹고 익혀봅시다. 한자의 뜻을 풀어보자면 ..

고사성어 2022.03.30

#고사성어 (5)同心同德 (동심동덕)

#고사성어 (5)同心同德 (동심동덕) 1. 들어가며 20대 대통령 선거를 치른 지 벌써 1달이 되어갑니다. 이번 대통령 선거로 인해 세대 간의 갈등, 성별 간의 갈등이 더욱 심화된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갈등이 점점 깊어지고 이 갈등은 서로를 혐오하는 관계로 만들어 버리고 있습니다. 이 상황에 필요한 고사성어인 "동심동덕(同心同德)"에 대해 알아볼게요. 2. 한자풀이와 의미 먼저 각각의 한자의 발음과 뜻을 샅샅이 뜯어서 물고 씹고 익혀봅시다. 한자의 뜻을 풀어보자면 같은 마음으로 덕을 함께한다라는 의미입니다. 한마음 한뜻으로 일을 하면 사람의 수가 적을지라도, 그 힘은 사람의 수에 비례 않고 아주 방대할 수 있습니다. 동심동덕(同心同德)은 가족, 회사, 동호회, 국가 등 사람이 모이는 곳에서 모두 적용할..

고사성어 2022.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