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4

#고사성어 (1) 同舟共济(동주공제)

#고사성어 (1) 同舟共济(동주공제) 들어가며 코로나로 인해 모두 불편한 생활을 한 지 벌써 2년이란 시간이 흘렀습니다. 코로나의 유행 초기에는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게 어색하고, 매일 마스크를 챙겨서 쓰고 나오는 것을 까먹기 일쑤였어요. 그런데 이제는 마스크를 벗고 다니는 것이 어색해질 정도로 마스크가 익숙해졌습니다. 언제쯤 코로나와 이별할 수 있을까요? 나라에서는 모든 국민들이 함께 방역수칙을 지키며 노력해달라고 외치고 있습니다. 이 상황에 딱 적합한 고사성어인 “同舟共济“에 대해 알아볼게요. * 한자풀이와 의미 먼저 각각의 한자의 발음과 뜻을 익혀봅시다. 한자의 뜻을 풀어보자면 同舟共济(동주공제)는 같은 배를 타고 함께 강을 건넌다는 의미입니다. 모두 힘을 합하여 나아가면 어려움을 극복해 낼 수 있..

고사성어 2022.03.02

#고사성어, 한자성어, 사자성어 뭐가 다르니?

#고사성어, 한자성어, 사자성어 구분 들어가며 사람들과의 대화할 때 있어보이게 대화하기 위해 고사성어와 사자성어를 넣어서 말하기 전에 앞서, 고사성어와 사자성어가 무엇이 다른지, 또 한자성어는 무엇인지 차이점을 알아봅시다. (타자 편의상 한자는 간체자를 사용하겠습니다. 양해 부탁드려요..^0^) 사실 고사성어, 한자성어, 사자성어 모두 비슷한 용어이기 때문에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각각 무슨 의미인지 알아 보겠습니다. 고사성어란? “고사성어(故事成语)”를 먼저 알아보자. “고사(故事)”란 옛날에 있었던 일을 의미하는 단어이고 “성어(成语)”는 말을 만들다라는 의미입니다. 즉, 옛날에 있었던 일로 말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어구입니다. 옛날에 있었던 일이라 함은 예부터 내려오던 재미있는 이야기나 교훈적인..

고사성어 2022.03.01

언어습관

평소에 말하는 언어 습관이 어떻게 되시나요? 일상 언어이다 보니 보통은 자주 쓰는 단어와 문장 스타일로 대화를 하곤 합니다. 굳이 다양한 패턴으로 대화하지 않습니다. 그런 단조로운 말에서 벗어나 좀 더 멋있게 말해 보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주변 사람들의 말을 분석해 보았습니다. 제가 생각했을 때 말 참 잘한다고 느껴진 부분은 말할 때 비유와 예시를 넣어서 말하는 사람, 사자성어나 고사성어를 넣어서 말하는 사람이었습니다. 비유와 예시는 책을 많이 읽고 생각을 평소에 많이 해야 언변을 늘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자성어나 고사성어는 좀 더 빠른 시간 안에 익혀서 말을 더 고급지게 할 수 있습니다. 학생 때는 국어, 한자 시간이 그렇게도 지루하고 싫었지만 커보니 다 필요한 내용들이었습니다. 늦게나마 다시..

고사성어 2022.02.28

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도전1 (2021.05.10 2차)

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도전1 (2021.05.10 2차) 원래 전공과 다른 회사에 다니다보니, 급하게 관련 학위가 필요해졌다. 학점인증으로 학위를 따면 되는데, 산업기사 자격증이 있으면 자격증으로 16학점이 인정된다고 한다! 이게 얼마나 큰 장점이냐면... 16학점이면... 인터넷 강의 5과목을 안들어도 된다는 것이다!! 2. 인터넷 강의 듣는 시간을 계산하면 3시간 × 15주 × 5과목 이면 225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3. 5과목의 과제도 만만치 않다! 과제하는 시간도 절약할 수 있다! 시간은 소중하니까.. 4. 강의 수강료가 최소 50,000이라고 치면 비용적인 부분에서도 250,000원 정도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필기, 실기 시험응시료가 있긴 하지만.. 그건 수강료에 비하면 새발의 ..

정보 2021.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