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4

#고사성어 (11) 능견난사(能見難思) - 너..T니..?

1. 들어가며 눈으로는 명확히 보이지만, 그 이치를 깊이 이해하기 어려운 사물이나 상황을 뜻하는 고사성어 '능견난사(能見難思)'에 대해 알아봅시다. 이 포스팅에서는 각 한자의 음과 뜻, 고사성어의 의미와 유래를 탐구하고, 현대 생활 속에서 이 고사성어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 능견난사(能見難思)의 음과 뜻 이 고사성어는 우리가 종종 겪는, 눈으로는 분명히 보이는데 마음으로 완전히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을 잘 표현하고 있죠. 그렇다면 이 네 글자의 뜻과 이야기는 과연 무엇일까요?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시죠. '능견난사'는 한자 네 글자 각각이 가지는 의미를 이해하면 그 뜻이 좀 더 명확해집니다. - 능(能): 이 한자는 '할 수 있다'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여기에서는 인식의 능력, 즉 ..

고사성어 2024.01.09

#고사성어 (10) 천금매골(千金买骨) - 가치 있는 것에 투자하다

1. 들어가며 고사성어 천금매골(千金买骨)에 담긴 깊은 의미를 탐구해보세요. 각 한자의 음과 뜻부터 고사성어의 유래에 이르기까지, 재미있는 스토리텔링으로 풀어내며, 현대 상황에서의 적용 방법과 대화 예시를 통해 이 고사성어의 활용법을 알아봅시다. 이 고사성어는 단순히 한자의 조합을 넘어, 깊은 교훈과 역사적 배경이 담겨 있는 말입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차근차근 그 내용을 풀어보겠습니다. 2. 한자의 음과 뜻 '천(千)'은 숫자 '천'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많은 양 혹은 큰 가치를 상징합니다. '금(金)'은 '금'이나 '돈'을 뜻하씨, 물질적인 가치를 나타냅니다. '매(买)'는 '구매하다' 혹은 '사다'라는 의미로, 어떤 대상을 돈을 주고 얻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골(骨)'은 '뼈'를 의미하는..

고사성어 2024.01.08

#고사성어 (9) 문정경중(问鼎轻重)의 깊은 뜻을 파헤치다

1. 들어가며 고사성어 '문정경중(問鼎輕重)'의 한자 별 음과 뜻을 풀어보고, 이 고사성어의 유래와 그 속에서 배울 수 있는 교훈, 그리고 이 고사성어를 실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 한자의 의미 먼저, '문정경중'이라는 고사성어의 한자 별 음과 뜻을 알아봅시다. '문(問)'은 묻다라는 뜻으로, 질문하거나 상대방의 의견을 듣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鼎)'은 동족을 나타내며, 고대 중국에서는 음식을 조리하거나 제사를 지낼 때 사용했습니다. '경(輕)'은 가볍다는 뜻으로, 무게가 적은 것을 의미합니다. '중(重)'은 무겁다는 뜻으로, 무게가 많은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문정경중'은 동족의 무게를 묻는다는 뜻으로, 이 고사성어는 천하를 빼앗으려는 속셈이나 남의 실력을 의심하는 ..

고사성어 2024.01.07

#고사성어 (8) 계구우후(鸡口牛后)"와 그 의미, 유래, 관련 이야기

1. 들어가며 고사성어 "계구우후(鸡口牛后)"에 대한 의미, 유래, 그리고 이와 관련된 이야기를 알아보는 포스팅입니다. 한자 단어의 의미와 함께, 이 고사성어가 왜 사용되며 어떤 이야기와 관련되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계구우후"를 사용한 대화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2. 계구우후(鸡口牛后) 한자풀이와 의미鸡 닭 계 口 입 구 牛 소 우 后 뒤 후 고사성어 "계구우후(鸡口牛后)"는 말 그대로 '닭 입에서 소 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표현은 사소하고 작은 사람이 큰 사람 앞에서 입을 열면서 위엄을 갖추고 있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고사성어입니다. 3. 계구우후(鸡口牛后) 성어의 유래 이 고사성어의 유래는 중국 고려 시대에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에는 사회적 계급이 엄격하게 구분되..

고사성어 2024.01.07

#고사성어 (7) 동감공고(同甘共苦)

#고사성어 (7) 동감공고(同甘共苦) 1. 들어가며 예전에 MBC에서 방영했던 프로그램인 "스타 서바이벌 동거동락"을 기억하시나요? 유재석이 MC였고 다양한 게스트들과 함께 게임을 하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어린시절 이 프로그램의 영향을 받아서 "동고동락"이란 고사성어를 "동거동락"이라 잘못 알고 있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동고동락(同苦同樂)은 괴로움과 즐거움을 함께 한다라는 의미의 고사성어입니다. 이 표현과 같은 뜻을 가진 오늘의 고사성어는 "동감공고(同甘共苦)"입니다. 2. 한자풀이와 의미 먼저 각각의 한자의 발음과 뜻을 샅샅이 뜯어서 물고 씹고 익혀봅시다. 한자의 뜻을 풀어보자면 동감공고(同甘共苦)란 기쁨과 행복을 함께 즐기고, 어려움을 함께 나눠서 감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람과 사람 ..

고사성어 2022.04.01

#고사성어 (6)동공이곡(同工异曲)

#고사성어 (6)동공이곡(同工异曲) 1. 들어가며 제가 좋아하는 노래중에 “걱정 말아요 그대”라는 노래가 있습니다. 이 노래는 드라마 1988의 OST로 드라마와 잘 어울리는 노래였습니다. 이 노래를 부른 이적의 깊은 목소리가 마음을 울렸습니다. 그런데 이 노래는 리메이크가 된 곡이었습니다. 원곡은 전인권의 걱정 말아요 그대라는 곡이었습니다. 같은 노래이더라도 제 취향은 이적님의 곡이었습니다. 이처럼 예전에 나왔던 곡들을 리메이크해서 리메이크한 가수의 특색을 살려 좋은 곡을 만들어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처럼 고사성어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습니다. “동공이곡(同工异曲)“에 대해 알아볼게요. 2. 한자풀이와 의미 먼저 각각의 한자의 발음과 뜻을 샅샅이 뜯어서 물고 씹고 익혀봅시다. 한자의 뜻을 풀어보자면 ..

고사성어 2022.03.30

#고사성어 (5)同心同德 (동심동덕)

#고사성어 (5)同心同德 (동심동덕) 1. 들어가며 20대 대통령 선거를 치른 지 벌써 1달이 되어갑니다. 이번 대통령 선거로 인해 세대 간의 갈등, 성별 간의 갈등이 더욱 심화된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갈등이 점점 깊어지고 이 갈등은 서로를 혐오하는 관계로 만들어 버리고 있습니다. 이 상황에 필요한 고사성어인 "동심동덕(同心同德)"에 대해 알아볼게요. 2. 한자풀이와 의미 먼저 각각의 한자의 발음과 뜻을 샅샅이 뜯어서 물고 씹고 익혀봅시다. 한자의 뜻을 풀어보자면 같은 마음으로 덕을 함께한다라는 의미입니다. 한마음 한뜻으로 일을 하면 사람의 수가 적을지라도, 그 힘은 사람의 수에 비례 않고 아주 방대할 수 있습니다. 동심동덕(同心同德)은 가족, 회사, 동호회, 국가 등 사람이 모이는 곳에서 모두 적용할..

고사성어 2022.03.29

#고사성어 (4)绝缨之会(절영지회)

#고사성어 (4)绝缨之会(절영지회) 1. 들어가며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실수를 할 때가 있습니다. 모두가 완벽하지 않기 때문이지요. 특히 사회 초년생이라면 업무능력이 서툴고 숙련도가 낮아서 실수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최대한 실수를 하지 않으려 두 번, 세 번씩 확인해보지만 어디선가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런 식으로 실수를 했지만 상사에게 용서를 받았던 적이 있을 겁니다. 이때를 계기로 실수하지 않으려고 더 노력하다 보면 상사의 인정을 받게 됩니다. 이런 상황에 딱 적합한 고사성어인 “절영지회(绝缨之会)“에 대해 알아볼게요. 2. 한자풀이와 의미 먼저 각각의 한자의 발음과 뜻을 샅샅이 뜯어서 물고 씹고 익혀봅시다. 한자의 뜻을 풀어보자면 갓 끈을 끊는 연회라는 의미입니다. "會 : 모일 회" 대신어 "..

고사성어 2022.03.24

#고사성어 (3) 亡羊补牢(망양보뢰)

#고사성어 (3) 亡羊补牢(망양보뢰) 1. 들어가며 이미 잘못을 저질러놓고 후회한 적이 있으신가요? 애초에 잘못된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베스트겠지만, 사람이 살다 보면 이게 잘못된 행동인지 모른 채 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물론 명확하게 올바른 일이 아닌 행동을 한 사람에게는 몰랐다라는 이유가 적용하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일을 저질러 놓고서 후회하며 바로잡으려 노력하는 행동을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라고 표현합니다. 이 속담은 중국의 고사성어에서는 “망양보뢰(亡羊补牢)”라고 말합니다. 2. 한자풀이와 의미 먼저 각각의 한자의 발음과 뜻을 익혀봅시다. 한자의 뜻을 풀어보자면 양을 잃고 우리를 보수한다(고친다)라는 의미입니다. 우리는 이 말을 사자성어로 표현하기 보다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라..

고사성어 2022.03.08

#고사성어 (2) 众叛亲离(중반친리)

#고사성어 (2) 众叛亲离(중반친리) 1. 들어가며 몇 년 전 방송인 이상민이 사업으로 빚이 수십억이 된다면서 방송활동을 재개했었습니다. 그 이후로 수많은 예능 프로그램에도 나오며 현재까지 방송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빚이 있어서 방송활동을 열심히 해서 갚아야 한다면서 방송활동을 재개했던 그 당시에 힘들겠지만 열심히 일해서 갚으려는 의지가 있어 보여서 여론에서는 긍정적인 반응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러나 최근 네티즌들의 반응은 이전과는 상반된 모습입니다. 빚이 16억이지만 월세는 200만 원에서 생활하는 모습이 방송에 나오면서 더욱더 반감을 사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딱 적합한 고사성어인 “중반친리(众叛亲离)”에 대해 알아볼게요. 2. 한자풀이와 의미 먼저 각각의 한자의 발음과 뜻을 샅샅이 뜯어..

고사성어 2022.03.04